영화관 알바, 내가 해봐서 아는데…

대기업에 시급 높고 영화도 맘껏 볼 수 있다고? 과연 그럴까…

“안녕하십니까 고객님. 티켓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

아직도 잊을 수 없는 저 피아노 솔# 높이의 대사. 이 대사가 입에 붙이기 전, 내게 있어 영화관 알바는 소위 얘기하는 꿀알바 였다. 대기업 계열사에, 시급 높지, 편의점이나 PC방과 달리 근로계약서 꼬박꼬박 쓰겠다, 4대보험도 있어, 영화까지 공짜로 볼 수 있어, 월급 역시 꼬박꼬박 나올 거고. 얼마나 좋아.

몇 주 뒤, 이 모든 것은 큰 오해임을 깨닫게 되었다.

우선 스케줄. 나의 월급을 좌우하는 것은 근무태도보다 ‘영화의 흥행’이었다. 몇 개월에 한 번씩 희망근무시간표를 제출하지만, 그것대로 된 적은 없었다. 영화가 잘 되면 일주일에 6일씩. 영화가 안 되면 일주일에 3일씩 출근했다. 덕분에 월급은 들쭉날쭉했다.

게다가 근무스케줄은 한 주가 시작되기 직전이 되어야 나왔다. 그 말은 곧 스케줄이 나오기 전까지 친구와 약속을 잡을 수도 없고, 다음 주의 계획을 세울 수도 없으며, 이번 달 월급이 얼마나 나올지조차 가늠하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행사’ 등의 개인적인 일로는 당연히 스케줄을 변경하기 힘들었다.

천만영화는 우리에게 특근의 시작을 의미했다 ⓒ국제시장

천만영화는 우리에게 특근의 시작을 의미했다 ⓒ국제시장

최근 알바노조를 통해 ‘글로벌 대기업 맥도날드’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꺾기’관행 역시 그 혐의를 피해갈 수 없다. 관객 수가 적은 날이면 점장은 직원들에게 “○명 퇴근시키세요.”라는 지시를 무전기로 내려 보냈고, 직원들은 알바들에게 퇴근을 종용했다. “퇴근할래요”라고 묻는 경우도 가끔 있었지만, 많은 경우 듣는 말은 “퇴근하세요”였다. 심지어, 당일에 영화가 잘 안 된다면서 근무 스케줄이 있는 이에게 “출근하지 말라.”고 전화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근무시간’과 관련된 문제는 계속 된다

바로 출퇴근 시간을 ‘15분 단위로 기록’한다는 사실.

예를 들어, 출근시간은 오전 9시고 차가 밀려 9:01분에 도착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나는 9:15분부터 근무를 하는 것이 된다. 즉, 내가 근무한 10분은 ‘일하지 않은 것’으로 취급된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오후 6:00에 퇴근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업무가 많아 6:14분까지 일했다면 그것은 정시 퇴근으로 판단된다. 결국 내가 일한 ‘14분'의 시간과 임금은 사라지는 것이 된다. 여기에 매일 근무 시작 10분 전인 8:50분 부터 복장점검 및 새로운 사항 등을 전달하는 조회라는 걸 하는데, 참석하지 못하면 이 역시 지각으로 취급된다.

아, 서비스직이 그정도의 확실한 직업의식도 없냐고? 좋다. 어디 한번 확실히 계산해보자.

매일 조회로 뺏기는 10분 x 월 24일 (주 6회 근무) = 240(분) = 4시간 이며
매일 추가근무 14분 x 월 24일 (주 6회 근무) = 336분 = 5시간 이다.

이 576분을 최저시급(5,580원)으로만 환산하면 53,568원.
확실히 받아야 할 돈을 이렇게 못 받고 있는 것이다.

복지나 혜탹같은 거창한 것을 바라지 않는다. 그냥 당연한 것들을 당연히 받고 싶다. ⓒ알바몬

복지나 혜택같은 거창한 것을 바라지 않는다. 그냥 당연한 것들을 당연히 받고 싶다. ⓒ알바몬

 

매일같이 사라지는 내 시간은 누가 보상한단 말인가

물론 불합리하다고 알바들이 단체로 몇 번이나 이야기해봤지만, 회사는 ‘시스템이 그러니 어쩔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그 밖에도 느낀 문제들은 많다. 상대적으로 움직일 일이 적은 매표의 경우에도 의자에 앉아 일할 수 없게 한다든가, 상영시간표에 맞춰서 그 넓은 상영관을 혼자 짧으면 5분, 길면 10분 안에 청소하고 팔걸이까지 닦으라는 불합리까지. 이 모든 것이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었다.

영화가 좋아 알바를 시작했다는 한 동료는 얼마 후 내게 “영화와 영화관이 싫어진다.”고 이야기했다. 재밌는 영화가 많으면 많을수록 일이 고되고 힘들어지니까. 게다가 ‘영화관’에서 파는 것이 실은 영화가 아니라 광고와 팝콘, 그리고 알바들의 ‘미소’라는 걸 깨닫게 될 수밖에 없으니까.

누군가의 끝은 누군가에겐 시작이었다. 그것도 매우 촉박한.

누군가의 끝은 누군가에겐 시작이었다. 그것도 매우 촉박한.

일을 그만둔 지금, 여전히 영화를 좋아하지만, 영화관은 영 불편한 장소가 되었다. 엔딩 크레딧 뒤에 나올 쿠키영상을 보기 위해 앉아 있지만, 저 밑에서 ‘청소를 빨리 하고 올라가야 하는데’하며 걱정하고 있을 알바의 모습이 눈에 그려지고, 바닥에 쏟아진 팝콘을 보면 잘 쓸리지 않던 바닥을 빗자루로 겨우 겨우 쓸어내던 내 모습이 생각난다. 영화관에서 영화를 즐기는 게 나의 길티 플레저가 되어 버린 것이다.

이 이상하고 또 괴상한 관행들이 고쳐지지 않는 한, 나의 영화 감상은 언제까지나 불편함으로 남을지도 모른다. 다만 나는 그냥 편하게, 영화를 보고 싶다. 그뿐이다. 그 말을, 하고 싶었다.

 


* 위의 경험담은 필진이 경험하였던 여러 지점과 필진이 개인적으로 취재한 사실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적정 근무시간과 최저시급을 준수하는 건전한 지점을 응원합니다.

Tweet about this on TwitterShare on FacebookShare on Google+Pin on PinterestShare on TumblrEmail this to someone
The following two tabs change content below.
이필명

이필명

글 못쓰는 글쟁이 워너비
이필명

이필명의 이름으로 나온 최근 기사 (모두 보기)